The Most Viewed Videos of all Time
Welcome
Login / Register

100만 원 ‘컷오프’, 재산 5억 원?

Thanks! Share it with your friends!

URL

You disliked this video. Thanks for the feedback!

Sorry, only registred users can create playlists.
URL


Added by Admin in Top 10
11 Views

Description

■ 방송 : 채널A NEWS TOP10 (17:50~19:30)
■ 방송일 : 2020년 4월 1일 (수요일)
■ 진행 : 김종석 앵커
■ 출연 : 김태현 변호사,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하종대 동아일보 뉴스연구팀장, 김종욱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외래교수

[김종석 앵커]
코로나19로 얼어붙은 경제를 살리기 위해 정부가 그제 100만원 지원금을 발표했습니다. 각각 지자체에서는 긴급자금수혈을 공표했었습니다. 그런데 국민들의 주머니에 돈이 들어오기도 전에 부작용 논란부터 직면했습니다. 시쳇말로 ‘현금 깡’을 통해 지하화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하종대 동아일보 뉴스연구팀장]
(지원금이) 가계비 상환으로 쓰일 수 있다는 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대출 이야기입니다. 우리나라 전체 가계 빚 대출이 1500조가 넘습니다. 그 중에 500조 이상이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의 운영자금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지원금을 받으면 빚 먼저 갚는 게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오는 겁니다.

[김종석]
전 국민 70%에게 주는 보편적 긴급 지원금이기 때문에 여전히 논란이 있습니다. 실제로 사용처가 불분명한 돈 풀기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을 철저히 준비해서 발표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옵니다.

[김종욱 동국대 정치외교학과 외래교수]
저는 정부가 직접 민생에 어떤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인지 원칙을 가져야 한다고 봅니다. 지금 재정여건을 고려해야할 상황이 아닙니다. 빨리 필요한 곳에 돈이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김종석]
정부가 소득 하위 70%에게 최대 100만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주겠다고 발표했었습니다. 그런데 여전히 어디까지 줄지 갈팡질팡입니다. 결국 건강보험료로 (지원금 지급을) 집행하겠다는 건 그만큼 빨리 기준을 삼을 수 있기 때문입니까?

[이도운 문화일보 논설위원]
새로운 기준을 만들려면 시간도 비용도 많이 듭니다. 건강보험료는 대체로 소득과 재산을 감안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형평성은 갖췄다고 봅니다. 다만 이를 기준으로 한다면 자영업자나 지역 가입자들이 상대적으로 손해를 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들은 (건강보험료를 낼 때) 부동산, 자동차 등 재산 전체를 같이 보기 때문에 직장인들보다는 돈을 더 많이 내기 때문입니다.

[김태현 변호사]
정책은 모든 사람을 만족시킬 순 없습니다. 그걸 잘 조정하는 게 정부입니다. 큰 틀에서 어떻게 할 건지 짜놓고, 70%를 어떻게 나눌지 어떤 방식으로 지급할지 등의 디테일이 중요한 겁니다. 그냥 하위 70%에게 준다는 발표가 중요한 게 아닙니다.

[김종석]
소득을 대략 5억에서 6억 정도로 경계를 두고 줄지 말지 결정한다는 보도가 나왔습니다.

[하종대]
일단 건강보험료를 기준으로 하되 이번에 소득이 줄어든 사람이 있다면 추가적으로 (지원금을) 주는 방법으로 빨리 돈을 줘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은 정확하게 주는 게 아니라 빨리 주는 게 중요합니다.

--------------------------------------------
* 위 텍스트는 실제 토크 내용의 일부분입니다. 전체 토크 내용은 동영상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정리=호현지 인턴

#TOP10뉴스 #뉴스top10 #실시간뉴스

▷ 공식 홈페이지 http://www.ichannela.com
▷ 공식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channelanews
▷ 공식 유튜브 https://www.youtube.com/tvchanews

Post your comment

Comments

Be the first to comment
R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