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 입생로랑, 디올, 랑콤 등 고가 쿠션 TOP of TOP은?
Description
(* For English subtitles, find the wheel-shaped icon in the bottom-right corner of the video and click the third button.)
안녕하세요, 디렉터파이입니다.
*본 영상은 유료 광고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지난 쿠션 영상 댓글 보고 반영하여 제작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확인해 주세요.
●컨텐츠 순서
00:00 고가 쿠션 리뷰 기준
00:45 디올 퍼펙트 vs 디올 글로우 쿠션
03:07 입생로랑 올아워 쿠션 vs 입생로랑 마블 팩트
05:01 랑콤 뗑이돌 vs 맥 스튜디오 퍼펙트
06:10 랑콤 뗑이돌 쿠션의 저렴이 버전은?
08:31 에스티로더 리뉴트리브 vs 에스티로더 퓨처리스트 쿠션
11:47 고가 쿠션 TOP of TOP (+고가 쿠션의 가성비 추천템까지)
●최근 디렉터파이 '쿠션' 영상
1년 총정리 쿠션 1위는? (2020 쿠션 연말결산)
https://youtu.be/afC4KBkU0fI
여름 내내 써봤어요. 지속력 갑 쿠션 추천템은?
https://youtu.be/mLXw11lXCjE
─────────────────────────────────────────
●디렉터파이's 추천템 선정기준
추천
일반 피부, 민감성 피부 추천 (민감성 주의해야 할 특정 성분은 추가적으로 멘트해요)
가끔쓸템
일반 피부는 추천.
민감성 피부는 비추천.
아쉬워요
일반 피부, 민감성 피부 모두 비추천
톱오브톱
(상대평가) 가성비, 사용감까지 좋은 제품
●이렇게 착한화장품 성분 순위 뽑고 있습니다.
1. 화장품에 쓰이는 성분 자체의 성질(좋은가, 나쁜가)
2. 화장품에 쓰이는 성분의 함량(높은가, 낮은가)
3. 화장품에 쓰이는 성분(원료)의 가격(그럴만한가, 그럴만하지 않은가)
4. 화장품에 쓰이는 성분의 일반적 루틴(매일 사용하는 제품인가, 그렇지 않은가)
5. 화장품의 각 카테고리 별 특성
(ex. 메이크업은 주의 성분 종류와 개수를 목적성에 따라 조절, 스킨케어는 보수적으로, 더마코스메틱은 가장 보수적인 기준)
-디렉터파이가 말하는 성분 '앞쪽'은 어디까지?
보통 1~7번 째/ 성분 구성상 10번 째까지
(1% 미만 함량은 순서에 관계없이 표기/피부, 환경 등에 불필요한 특정 성분의 경우 1% 미만이라도 주의로 표시합니다.)
Comments